성공학 / / 2023. 10. 20. 06:43

나를 위해 일하는 비활동 소득이란?

반응형

나를 위해 일하는 비활동 소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끔 자기 계발서적을 읽다 보면 돈이 나를 위해 일하도록 하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부를 이루기 위해서라든지 성공하기 위해서라든지 아니면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해서는 돈이 나를 위해 일하도록 해야 한다는 말을 듣게 됩니다. 하지만 이 말을 처음 듣는다면 다소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라는 질문이 머릿속에서 떠오르실 겁니다. 그럼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지기 위한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한다는 말이 무엇인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를 위해 일하는 비활동 소득이란?
나를 위해 일하는 비활동 소득이란?

 

[목차]
1. 패러다임의 변화
2. 비활동 소득에 집중

패러다임의 변화


패러다임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사고나 견해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


먼저 나를 위해 일하는 돈의 개념이 있고 실제로 이러한 돈은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먼저 아셔야 합니다. 우리 중 대부분의 사람들은 돈을 갖기 위해서는 열심히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머릿속에 입력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들어왔기 때문입니다. 네, 맞습니다. 열심히 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열심히 일하는 것만으로는 자신이 원하는 삶을 풍요롭게 살지는 못합니다.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한 것입니다. 돈은 열심히 일해서 버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나를 위해 일하는 돈이 있다는 사실도 아셔야 하는 것이죠. 열심히 일을 해서 번 돈을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아셔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 주위를 둘러봐도 어떤 사람은 휴식을 즐기면서 일을 하는데도 넉넉하게 살아가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휴식 없이 일만 열심히 해도 부족하게 살아가는 사람을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연히 열심히 일만 하면 더 잘살아야 하는 것이 상식적으로 맞는 일인데 말이죠.

 

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일까요? 바로 번 돈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습니다. 흔히 자수성가하고 넉넉하게 살아가는 살람들은 돈이 나를 위해 일하도록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내고 이용한다는 점입니다. 열심히 일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음 단계를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돈이 나를 위해 일하는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 나 대신에 일할 사람을 고용한다든지 나 대신에 일할 돈을 끌어들이는 방식입니다. 일을 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의지하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생활을 누릴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을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지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우리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나를 대신해서 일할 사람들이 있고 그들이 돈을 벌어다 준다는 생각과 돈이 나를 위해 일하고 돈을 벌어다 준다는 생각과 자신도 가능하다는 사고를 늘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활동 소득보다는 비활동 소득에 있다는 점입니다. 일하지 않고도 벌어들이는 소득을 비활동 소득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소득 파이프 라인이라고도 부릅니다. 이러한 비활동 소득 창출이 많아질 수도록 우리는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지고 휴식을 가지면서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돈은 열심히 일해서 벌지만, 돈이 나를 위해 돈을 벌어오는 것도 가능하다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그럼 비활동 소득이 무엇이며 왜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나를 위해 일하는 비활동 소득이란비활동 소득에 집중패러다임의 변화

비활동 소득에 집중

비활동 소득이란 활동 소득의 반대말로 활동을 하지 않아도 들어오는 소득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비활동 소득에는 두 가지 소득이 있습니다. 하나는 나를 위해 일하는 이고 다른 하나는 나를 위해 일하는 사업입니다. 나를 위해 일하는 돈이란 투자와 같은데 주식, 채권 등 금융시장에 자신의 돈을 다른 자산에 투자해서 나오는 소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를 위해 일하는 사업이란 직접 사업을 운영하지 않고 소득 창출에 관여하지 않더라도 나에게 들어오는 소득입니다. 부동산 임대나 프랜차이즈 사업, 저작권료(음반, 소프트웨어, 서적, 강의), 네트워크 마케팅 등이 나를 위해 일하는 사업이고 소득을 벌어다 주는 개념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비활동 소득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배워야 합니다. 투자 강연회에 참석하고 투자 관련 서적과 경제 신문을 읽으면서 돈의 흐름과 기회를 알아보는 눈을 키워나가야 합니다. 아직 나는 비활동 소득에 집중할 여력이 안 돼서 이러한 배움은 아직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되시더라도 그런 마음은 아직 나의 기존 패러다임이 나를 방해한다고 생각하시고 지금 배워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셔야 합니다. 

 

우리가 비활동 소득에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는 비활동 소득에 대해 배운 적이 없고 들어본 적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어떻게 벌어야 하는지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죠. 그리고 어렸을 때부터 주입되고 경험된 탓이기도 합니다. 사실상 비활동 소득은 굉장히 위험하거나 별로 크게 소득을 벌어다주지 못한다는 편견을 가지고 계신 경우도 많습니다. 무엇보다 사람들의 관심은 근로소득에 있다는 것이죠. 하지만 우리에게는 오늘의 즐거움과 내일의 자유를 위해 투자의 균형을 맞추는 사고가 필요합니다. 장기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금 당장은 비활동 소득이 자신의 삶에 그렇게 많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비활동 소득을 배우는 시간에 차라리 근로소득을 가져오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우리가 활동을 하지 않아도 나에게 돈을 벌어다 주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요점은 이렇습니다. 돈을 벌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 만큼 그 돈이 자신을 위해 열심히 일하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당장에 번 돈으로 무언가를 구입하기보다는 가치가 올라갈 것 같은 자산을 사들이는 쪽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입니다. 지금 자신에게 있는 돈은 무엇과 교환할 수 있는 교환수단이 되어 줍니다. 그리고 그 돈은 나중에 나에게 풍요를 가져다주는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셔야 합니다. 패러다임의 변화, 비활동 소득에 씨앗을 뿌리면 후에 큰 결실로 자신에게 돌아올 것을 믿어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loading